티스토리 뷰

반응형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 포스터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 포스터

안녕하세요, 오늘은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를 리뷰해 보겠습니다. 왕위를 둘러싼 권력 다툼과 정치 혼란이 극에 달한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입니다. 영화 포스터와 같이 마치 똑같이 생긴 왕이 두 명이 보입니다. 한 명은 진짜 왕이지만 다른 한 명은 가짜 왕입니다. 과연 누가 진실이고 거짓일지는 영화 리뷰를 통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배우 이병헌의 1인 2역 연기는 정말 감탄을 자아낼 정도 입니다. 섬세한 내면 연기와 서로 다른 성격과 표정 등을 완벽하게 표현했다는 찬사가 쏟아졌습니다. 하선이 시간이 지날 수록 왕으로 변화해 가는 과정을 연기하는 것은 무척 어려웠을 것으로 보였는데도 불구하고 완벽하게 표현했습니다.

 

광해군, 그는 왜 예민하고 난폭한 조선의 왕이 되었을까?

정치다툼과 권력다툼의 시대에 광해군은 자신의 목숨을 노리는 자들이 있다는 불안감 때문에 예민해져 간다. 시간이 지날수록 난폭해져 가던 광해군은 도승지와 허균에게 위기의 상황에서 자신을 대신할 대역을 찾으라고 명령한다. 그리고 저잣거리에서 흉내와 성대모사로 인기를 끌었던 하선을 보고 허균은 왕의 행세를 해달라고 제안한다. 사실 하선은 광해군과 모습이 똑 닮았으며, 타고난 말솜씨로 전하의 흉내와 성대모사를 낼 수 있는 능력이 출중하였다.

 

거리의 만담꾼이 조선의 왕이 될 수 있었던 이유

광해군이 갑자기 의식을 잃고 쓰러졌다. 이에 허균은 광해군이 치료를 받는 동안 하선에게 광해군의 대역을 지시한다. 허균의 지시 하에 광해군의 말투, 걸음걸이를 배우고 국정을 다스리는 법까지 배우게 된다. 그렇게 진짜 광해군이 돌아올때까지 절대 들켜서는 안 되는 위험천만한 연극을 시작하게 된다. 난폭했던 진짜 광해와는 달리 인간미가 느껴지는 광해(하선)의 모습에 신하들이 눈치를 채기 시작하고, 하선은 연극에 심취한 바람에 점점 왕의 대역이 아닌 자신의 의견을 표출하기 시작한다.

 

가짜 광해군과 주변 인물들

영화의 재미있는 부분은 하선이 왕의 대역으로 있을때 그의 주변 인물들과의 관계입니다. 항상 함께 있는 내관이 어린 시절 내관이 되기 위해 거세의 고통을 겪었던 것을 함께 가슴 아파하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또한 어린 궁녀 사월이는 왕에게 팥죽을 올리는 역할이었는데, 그 아이가 어린 나이에 부모를 떠나 궁에까지 들어올 수밖에 없었던 사연을 듣게 됩니다. 부패한 관료에 의해 사월이의 가족들은 모두 흩어지고 어머니는 어디에 있는지 조차 알지 못하는 상황이었습니다. 하선은 사월이에게 반드시 사월이의 어머니를 찾아 줄 것을 약속합니다. 또한 하선은 궁녀들이 왕의 남은 식사를 그들의 식사로 먹는 것을 안 이후에 그들을 위해 팥죽을 제외한 많은 음식을 남겨주었습니다. 왕을 항상 따라다니며 보호하는 호위무사와도 관계가 돈독해집니다. 사실 왕의 호위무사는 왕이 가짜라는 것을 첫 번째로 눈치를 챈 사람이었습니다. 그때 그는 하선을 죽이려는 시도를 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하선은 운 좋게도 자신의 비밀을 숨길 수 있었고, 호위무사는 자신의 불충의 대가로 자결을 시도합니다. 그 상황에서도 하선은 호위무사가 죽지 않도록 하였고, 호위무사의 칼은 자신을 베는 용도가 아니라 반드시 왕을 보호해야 할 때 사용하는 것이라고 알려줍니다. 즉, 반드시 살아야 하는 것임을 강조하며 호위무사를 감동시킵니다. 궁궐 안의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여 저마다의 사연과 목적이 있기 때문에 하선이 왕의 대역을 하는 동안에 예상치 못한 내용 전개를 이루고 진한 감동을 관객들에게도 전달할 수 있었습니다.

 

 

오늘은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 를 리뷰해 보았습니다. 왕의 말, 행동, 일과 등 왕에 관련된 모든 것을 역사에 기록하는 '승정원일기'에 유독 광해군의 통치 시대에 15일간의 기록이 사라진 것에 대하여 추측과 상상을 통해 만든 영화가 바로 '광해, 왕이 된 남자'입니다. 영화 극후반부에 도승지 '허균'은 신하에게 '승정원에 가서 지난 15일간의 기록을 무슨 수를 써서라도 반드시 가져오너라'라고 명령합니다. 이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15일간의 기록이 사라진 이유가 분명히 존재한다고 후손들은 믿고 있습니다. 이만 마치겠습니다.